본문 바로가기
Golucky 이야기/건강

복부비만 기준, 본인 상태는?

by jay85 2016. 10. 11.

오늘은 비만에 관련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올 기준 약 7년 전 대비 성인 고도 비만이 약 45% 급상승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면 통계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 2명중 1명이 해당


그리고 성인여성 4명중 1명이 비만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질병 중에서 실제 복부만 해당하는 사람은 어느 정도 일까요??


심혈관 및 대사질환의 합병증 위험이 높은 복부비만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성인 5명중 1명은 해당 대상이고 인구로 환산하면 약 877만명이라고 합니다.



복부비만 기준은?


허리 둘레 기준으로 보통 측정하게 됩니다.


나이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지만 아래 기본적인 수치들 보시죠.


남성 : 허리둘레 90cm 이상 (35인치 이상)

 

여성 : 허리둘레 85cm 이상 (32인치 이상)


위에 해당 되면 1차적으로 해당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BMI 기준으로 구분하는 방법도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BMI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BMI 지수 = 몸무게(kg) / (신장(m) x신장(m))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왜 위험한가?


일단 대사증후군 4.2배


고혈압 2배


당뇨병 2.1배


만성콩팥병 1.5배 이상으로 질병 발병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슬림해질 수 있을까???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


기본적으로 생활 습관이 많이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음주, 흡연, 과식이라는 습관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변화가 필요한 3가지의 생활이 있습니다.


1. 규칙적인 식생활을 갖는다.


2. 음주는 삼가한다.


3. 규칙적으로 시간을 정해서 운동을 주3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 실시한다.


오늘은 이렇게 전체적인 복부비만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꼭 실천하여 35인치 이상일 경우에는 3개월 계획을 잡아서


약 1인치만 줄이도록 노력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