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lucky 이야기/etc..

버킷리스트 작성요령

by jay85 2013. 8. 5.

버킷리스트..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사람 혹은 자신이 꼭 하고 싶은 일들을 말하는 거죠^^

 

사전의 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Bucket List

 

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과 보고 싶은 것들을 적은 목록을 가리킨다. '죽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속어인 '킥 더 버킷'으로 부터 만들어진 말이다.

 

중세 시대에는 교수형을 집행하거나 자살을 할때 올가미를 목에 두른 뒤 뒤집어 놓은 양동이(Bucket)에 올라간 다음 양동이를 걷어참으로써 목을 맸는데 이로부터 킥 터 버킷 이라는 말이 전해진 거랍니다^^

 

그럼 서두는 간단하게 하고 어떤것들을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한번 보죠^^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저는 개인적으로 죽기전에 꼭 하고 싶은것들을 적으면서 본인이 꼭 이 일들 또는 이것을 해야한다는 동기부여가 되면서 한마디로 개인의 목표를 작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리스트들을 이루기 위해 본인이 열심히 살아간다는데에 긍정적인 면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버킷리스트 만드는 세가지 방법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버킷리스트지만 막상 어떻게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몰라 실행에 옮기지 못한 이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 출간된 버킷리스트 관련 책자를 보면 버킷리스트 작성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당장 소소한 것들부터 쓰는게 방법입니다. 즉 지금하지 못하면 1년뒤에도, 10년뒤에도 할 수 없다는 것이 기본이다라는 이론에서 나온 말들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자신이 어떤 때 가슴이 뛰는지를 생각해 보는 겁니다.

 

즉, 어떤 일을 하면 행복한가 가보고 싶은 혹은 끌리는 장소는 어디인가 무엇을 가졌을때 기쁨을 느꼈나 등등입니다.

 

 

위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1. 소소한 내용이지만 평소에 하지 못한 것들을 중심으로 먼저 생각한다.

 

2. 자신이 가장 가슴이 뛰는지가 언제 어떻게 뭘 할때인지를 파악한다.

 

3. 자신의 장점 욕망 등 어떤 것을 평소에 꿈꿨는지 생각한다.

 

위 내용을 정리하면서 떠올린다면 보다 버킷리스트 작성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죽음을 앞둔다기 보다는 그 버킷리스트에 자신의 목표를 담아두고 그것을 향해 한걸음 한걸음 노력을 이루면서 다가가는게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 아닐까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